임신중에 가입하면 태아보험이구요, 출산후 아이보험을 가입하면 어린이 보험이라고 표현합니다.
임신에서 출산후에 발병할 수 있는 선천이상질병과 신생아 관련 질병으로 인한 인큐베이터 입원비용, 소아 장애로 인한 신체마비, 조산으로 인한 미숙아 출산 등의 위험에 대한 대비를 하고, 장기적으로는 자녀의 성장과정에서 발병할수 있는 암을 포함한 여러 가지 질병 상해를 보장하는 보험입니다.
1. 어린이보험 환급 상품과 어린이보험 소멸성 보험 비교
2. 태아보험과 어린이보험의 차이
3. 어린이 보험 가격 : 어린이 보험료 적당한 금액은 얼마?
1--->보험 환급상품이 있고 소멸성 보험이 있다고 하는데 어찌하는 것이 좋을까요?
아이가 커가면 커갈수록 돈이 더 들텐데 적금한다는 생각으로 환급성 상품을 가입하는게 좋지 않나요?
원금 손실을 보면 아깝기도 하구요.
보험사에서 말하는 환급성 상품은 실질적으로 낸돈을 다 주는 형태는 아닙니다. 특약을 보면 3년 갱신 특약이 있습니다. 이것는 그 특약만 3년마다 보험료가 조금씩 올라가는 형태이며 3년마다 소멸이 됩니다.
따라서 환급성은 이 특약을 빼고 계산하셔야 합니다.
또한 생명보험사는 주계약과 특약의 환급이 다릅니다. 만기시 주계약을 다 환급해주는 것을 기존생명보험사에서는 환급형 상품이라고 표현하며 특약은 소멸입니다. 만일 특약도 환급을 해준다고 하면 상품에 특약도 환급이라고 명시합니다.
소멸형 상품은 완전소멸이라고 표현하며 역시 3년 갱신 특약은 3년마다 보험료가 올라갑니다.
그에 반해 손해보험사는 환급형 상품은 3년갱신 특약은 빼고 나머지 주계약과 특약전체에 대해서 일정금액 이상으로 환급을 최저 30%에서 최대 100% 까지 맞출수가 있습니다. 역시 가정의 규모에 따라서 금액에 맞게 가입하시는 것이 낫다고 생각됩니다.
마지막으로 환급과 소멸에 대해서 말씀하셨는데요 제생각엔 보험료가 비싸면 비쌀수록 역시 법인이든 개인이든 수수료가 똑같이 늘어납니다. 100% 환급을 하시려면 보험료 규모가 무척 커지면 만기시 내가 낸 전체 금액에서 받는 돈의 규모를 보면 환급액이 일정합니다. 절대로 몇%를 더 받는다는 생각보다는 납입한 총 액에서 환급액을 따져보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면 35,000원에 20년납인 어린이 보험에서 10만원에 20년납인 어린이 보험과 비교하면 보상은 똑같으며 환급액만 차이가 발생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이 환급액도 10만원짜리가 환급이 높을수 있지만 실질적으로 총 납입액에서 환급액을 빼보면 거의 일정합니다.
즉 %가 아니라 총액중에서 얼마를 손해보는지를 판단내리시는 것이 좋은 선택기준이십니다.
만일 제가 가입한다면 전 35,000원짜리를 가입하고 나머지 차액인 65,000원은 적금을 가입하겠습니다. 아이꺼라면 10년이상인 비과세 상품이나 안정적인 적립씩 펀드를 추천합니다.
*보험료=보장보험료(부가보험료)+적립보험료
적립보험료가 이자를 만들어서 만기시에 없어진 보장보험료를 매꾸어 가는 것입니다. 그 금액을 손해보험사는 조종할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적립보험료에도 상품에 따라 달라지기는 하지만 수수료가 보장 보험료 만큼 사업비로 빠지기 때문에 환급성 상품은 더 많은 돈을 내야합니다.
2----> 태아보험과 어린이보험의 차이
태아보험과 어린이 보험은 무슨 차이가 있나요?
012
태아보험과 어린이 보험의 차이는 단순히 보험가입시기가 언제이냐 하는 문제입니다.
임신중에 가입하면 태아보험이구요, 출산후 아이보험을 가입하면 어린이 보험이라고 표현합니다.
임신에서 출산후에 발병할 수 있는 선천이상질병과 신생아 관련 질병으로 인한 인큐베이터 입원비용, 소아 장애로 인한 신체마비, 조산으로 인한 미숙아 출산 등의 위험에 대한 대비를 하고, 장기적으로는 자녀의 성장과정에서 발병할수 있는 암을 포함한 여러 가지 질병 상해를 보장하는 보험입니다.
3---->어린이 보험 가격 : 어린이 보험료 적당한 금액은 얼마?
보험료를 청약하고 알아본 결과 여자아이는 좀더 저렴하고 남자아이는 좀 비싼편입니다.
약 33,000원에서 4만원 사이가 적정하다고 생가됩니다.(20년 납입 20년보장시-손해보험)
납입은 5년납 5년보장, 5년납 10년 보장등 다양합니다. 당연히 납입기간이 짧으면 보험료는 올라갑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 한것은 일정한 납입기간과 보장기간으로 20년납이 납입기간으로 적정하며,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요즈음 각 보험사가 100세보장 상품이 많이 출시 되고 있습니다.
예상으로는 몇 년이내로 120세 보장상품이 나올것 같습니다.
따라서 현재를 기준으로 20년납 20년 보장상품을 가입할지 혹은 지금부터 아예 20년납이나 25년납으로 100세 보장을 가입할지를 선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문제라 생각됩니다.
만을 20년 보장상품을 가입시 그렇게 큰 문제가 생기지 않게 되었다면 20년후 성인보험으로 가입시켜도 문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큰 질병이나 상해로 보상경험이 있다면 보험사에서는 20년후 더 이상 보험을 받아주질 않습니다. 또한 그렇다고 지금부터 장기보험을 가입하면 보험료는 거의 6만원 이상으로 올라가며 갱신특약은 100세까지 보장이라면 100세 까지 계속 해서 보험료 부담을 해야합니다. 이뜻은 100세 보장이므로 위험이 발생할 것을 대비해 20녀납 20년 보장보다 보험료가 올라간다는 뜻입니다.
또한 그러다 120세가 나오서 다시 같아탄다면 비싼 보험료를 냈었기 때문에
20년납 20보장보다 손실의 규모가 커지는 것입니다.
이런 특약은 요즈음 출시가 많아지므로 집안 가족력이나 납입여력을 따지셔서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